요즘에는 사소한 것들로 부터 서비스를 만들어 내주는 기능들이 많습니다.
기능 구현에 대한 제약이 많지 않기 때문인데요.
그중에서도 다들 아시는 타이핑 인디게이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마 모르는 분들이 없으실텐데요. 전세계적으로 이용량이 많은 인스타그램의 DM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기능이고,
밸류랩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메신저인 디스코드에도 사용되고 있는 기능인데요. 타이핑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메세지를 실시간으로 입력하고 있을 때 나타나고 대부분 작은 원들이 파도 처럼 움직이거 깜빡이거나 하는
애니메이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의 DM이나 디스코드 말고도 소셜미디어 서비스나 채팅 서비스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최초로 타이핑 인디케이터가 만들어진건 마이크로소프트의 팀즈 프로그램이 시작이하고 합니다.
현실에서의 대화 경험을 그대로 옮기자는 아이디어가 있었다고 합니다.
온라인에서의 사용하는 채팅 서비스에서 오프라인으로 대화 했을 때 느낄 수 있는
상호 작용을 느끼게 한다는 것은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줄 수있습니다.
그래서 오늘날 많은 채팅 서비스와 소셜 서비스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타이핑 인디케이터는 좋은 경험도 주지만 사용자에게 심리적 불안감을 주기도 합니다.
상대방이 채팅을 치는 동안은 타이핑 인디케이터가 표출되게 됩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답이 오지 않고
타이핑 인디케이터만 계속 나타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사용자는 '계속 채팅을 보고 있어야 하나'라는 생각이 들거나 '많은 양을 적느라 오래 걸리는 구나'
라는 불안감을 가지게 됩니다.
별거 아닌 답이 왔을 경우에는 시간낭비라고 생각 할 수도 있습니다.
가끔은 읽지 않았는데 읽었다는 오작동도 경험하기도 합니다.
타이핑 인디케이터에게는 장점과 단점이 있지만 모든 서비스가 그렇듯
장점과 단점을 적절히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분명 고객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 경험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