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능정의서란?
각각의 기능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개발요건 등을 담은 설명을 통해 어떻게 구현되어야 하는 지를 기재한 문서입니다.
화면설계 이후 본격적인 기획의 첫 단계이며, 디자이너, 개발자와 소통을 통해 좋은 서비스를 만들어 내기 위한 방향성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능정의서는 한 번에 작성될 수 있다면 더욱 좋겠지만, 초안을 작성 후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지며 더욱 상세하게 발전시켜가면
더욱 좋은 기능정의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형태가 화려한 것보다는 기획한 기능에 대해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수정 과정이 당연히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2. 기능정의서의 구성 요소
기능정의서에는 요구사항 기능, 페이지, 주요 기능명, 기능이 삽입되는 페이지, 입력 시 산출 값, 주요 기능에 대한 설명 등이 포함됩니다.
각각 프로젝트마다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구성요소 또한 변경될 수 있습니다.
화면 기획과 기능정의서를 별도의 문서로 작성하는 경우도 있지만, 피그마를 이용하면 화면 구성과 기능정의를 하나의 파일에서 확인하고 코멘트 기능을 통해 실시간으로 의견을 공유하며 수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