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 타입화를 할경우 종종 component가 연결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프레임 안에 component를 넣어서 프로토 타입화를 진행하면 됩니다.
또한 프로토 타입화는 전체 flow로 갈 수도 있지만 어느정도 flow를 나눠서 섹션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회원가입/ 로그인/ 상품 등록/ 등등 몇가지 섹션으로 나눠서 프로토타입화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회원가입, 로그인 기획 시 유효성 체크 메세지에 대해 알아볼까요?
업무 메신저로서의 디스코드는 어떤 장점이 있을까요?
협업툴을 바꾼 이유는 무엇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