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디자인과 서비스에서 영감이 될만한 것을 찾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는 것이 프로세스입니다.
하지만, 문제해결이 과제의 목표일 경우에는 조금 다릅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해결 가능한 문제, 변경 불가능한 조건, 고려해야할 각종 기술적 문제를 구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 내의 각 부서별 정보 수집 및 협업이 필요합니다.
서비스 및 상품에 대한 지식은 영업팀이, 변경이 어려운 운영사항 및 경영방침은 운영팀과 경영지원팀이,
수정이 어려운 코드는 프로그래머들이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
그렇기에 Uxer에게 더욱 협업과 소통이 중요합니다.
에이전시일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와의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소통으로 이 부분의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필수 요건'과 '희망사항'을 명확히 분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종종 고객에게는 꼭 필요하지 않은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그 상태가 최선이라는 생각에 빠져서
그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명확하게 서비스 개선을 위한 의견을 표명해야 합니다.
출처 : 유엑스리뷰 '하루5분 UX'-lesson9 필수 요건 수집하기
Growth AARRR, 서비스 유저들의 행동 패턴에 대해서 더 잘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어, 점차 기획 포지션에서도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미적 사용성 효과 : 사용자들은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인터페이스를 발견하면, 약간의 사용성의 문제가 있다고 해도 훨씬 관대한 태도를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