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 설계 초안이 작성되고 나면 고객사와 피드백을 주고 받아요.
고객사는 여러 번에 걸쳐 화면에 대한 피드백을 하고 기획자는 의견을 주고 받으며 수정을 해야 해요.
이 때 Figma의 코멘트 기능을 이용하면 서로 쉽게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 있어요.
이렇게 피드백을 주고 받을 때에 유의해야 할 점들이 있어요.
서비스에 많은 기능을 담고 싶은 마음은 당연한 것이지만 초기에 많은 기능을 담으려다가 결국 오픈하지 못하는 서비스들이 많아요.
기획 단계에서 적당한 선을 정하고 그보다 많은 기능을 담고자하면 독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시켜줄 필요가 있어요.
ex) 상품 자동 추천 서비스를 추가해주세요 / 위치기반 서비스를 추가해주세요 등
예를 들면 IOS 앱스토어에 출시할 서비스에 애플 로그인을 삭제해 달라고 요청이 올 수 있어요.
기획자들은 이런 정책들을 숙지하고 고객사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어요.
초안을 설계해 둔 뒤 특정 화면에 대한 수정을 요청했을 때는 그와 연관되어 함께 수정해야 하는 화면들을 간과할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이후에도 여러 번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어요.
요청내용 : 1일 전 항목을 없애고 단계를 간소화해주세요
위와 같이 요청 사항에 따른 수정 화면은 기능 또는 유저 단위 등에 따라서 여러 개가 될 수 있고 Admin에서도 수정 사항이 생길 수 있어요.
이와 같은 점들을 유의하여 피드백을 주고 받는 다면 이후에 생길 큰 시행착오를 막을 수 있을 것 같아요~!
힉의 법칙(hick's law) : 사람이 무언가를 선택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선택하려는 가짓 수 만큼 시간이 더 소요된다.